Mac 사용자라면 대부분 패키지 관리 툴인 Homebrew를 아신다거나 많이 사용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.
그중에 커맨드라인 명령어 만으로도 어플을 설치할 수 있는 brew cask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java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.
brew cask를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 첨부를 확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Homebrew/homebrew-cask
Homebrew/homebrew-cask
🍻 A CLI workflow for the administration of macOS applications distributed as binaries - Homebrew/homebrew-cask
github.com
1. Homebrew-cask-versions를 설치
복수의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버전별로 설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Homebrew-cask-versions를 먼저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.
보통 brew cask를 사용하여 java를 설치하게 될 경우 [brew cask install java]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java는 최신 버전을 설치하게 됩니다.
https://github.com/Homebrew/homebrew-cask-versions
Homebrew/homebrew-cask-versions
🔢 Alternate versions of Casks. Contribute to Homebrew/homebrew-cask-version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Homebrew-cask-versions 는 아래의 커멘드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$ brew tap homebrew/cask-versions
2. Homebrew-cask-versions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
Homebrew-cask-versions 를 설치하지 않고 다른 버전을 설치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.
case 1. java8 설치 시
$ brew cask install java8
Error: Cask 'java8' is unavailable: No Cask with this name exists.
case 2. java10 설치 시
$ brew cask install java10
Error: Cask 'java10' is unavailable: No Cask with this name exists.
case 3. java11 설치 시
$ brew cask install java11
Error: Cask 'java11' is unavailable: No Cask with this name exists.
3. Java설치
Homebrew-cask-versions를 설치하고 나서 아래와 같은 커멘드들로 이전 버전의 java를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.
$ brew cask install java11
$ brew cask install java10
단, Java8은 라이센스 문제로 이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.
아마 위와 같은 [Error: Cask 'java8' is unavailable: No Cask with this name exists.] 에러가 출력될 것입니다.
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는
1. adoptopenjdk8
2. corretto8
3. zulu8
등이 있습니다.
(하지만, 위의 같은 항목들의 구성이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. 조사한 뒤에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)
4. 확인
brew cask를 사용하여 이전 버전 설치를 완료했으면 잘 설치가 되어 있는지 list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물론 그냥 터미널에
$ java -version
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$ brew cask list
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엇이 설치되어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brew list같은 느낌입니다.
$ brew cask uninstall 삭제명
삭제도 간단합니다.
만약에 Homebrew-cask-versions 이 기능을 잠깐만 사용하고 싶거나 다시 삭제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와 같은 커맨드로 해제하실 수 있습니다. 물론 cask기능 또한 같은 방식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.
- tap의 리스트 확인
$ brew tap
- 해당 tap을 삭제
$ brew untap homebrew/cask-versions
5. 마무리
간단하게 brew cask 를 사용하여 버전 별로 설치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
brew cask는 많이 사용해보진 않았는데 의외로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.
글에서는 java만을 다루고 있지만 여러 가지 cask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App들도 활용 가능합니다.
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환경
Mac OS 10.14.6 Mojave
'IT > 지식 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APP 개발 종류에 대해서 (0) | 2021.12.23 |
---|---|
B2B & B2C 에 대해 알아보자! (0) | 2021.12.07 |
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자! (IaaS, PaaS, SaaS) (0) | 2021.12.06 |
UI 와 UX 에 대하여 알아보자! (0) | 2020.06.15 |
Mac에서 PlantUML을 사용해보자! (0) | 2020.04.20 |